[CHI 24 REVIEW] Green Cloud: Supporting Sustainable Behavior by Helping Users Remove Unnecessary Photos from Cloud Storage Service
![[CHI 24 REVIEW] Green Cloud: Supporting Sustainable Behavior by Helping Users Remove Unnecessary Photos from Cloud Storage Service](https://image.inblog.dev?url=https%3A%2F%2Finblog.ai%2Fapi%2Fog%3Ftitle%3D%255BCHI%252024%2520REVIEW%255D%2520Green%2520Cloud%253A%2520Supporting%2520Sustainable%2520Behavior%2520by%2520Helping%2520Users%2520Remove%2520Unnecessary%2520Photos%2520from%2520Cloud%2520Storage%2520Service%26logoUrl%3Dhttps%253A%252F%252Finblog.ai%252Finblog_logo.png%26blogTitle%3Deunhokim&w=2048&q=75)
This document is structured as follows:
Meta Information about the Paper (논문 정보)
Researcher's Affiliation Site (저자 연구실 정보)
Content for General Readers (일반 독자를 위한 내용)
Content for Korean Readers Who Want to Know More about the Paper (관련 분야 한국 전문가를 위한 한글 내용)
In conclusion (마치며)
let’s start.
Meta Information about the Paper
Hyun, D., Jang, E., Lee, J., & Kim, T. (2024, May). Green Cloud: Supporting Sustainable Behavior by Helping Users Remove Unnecessary Photos from Cloud Storage Service. In Extended Abstracts of the CHI Conference on Human Factors in Computing Systems (pp. 1-6).
Student Research Competition: Undergrad - 3RD
Video:
Researcher's Affiliation Site
Donghee Hyun
Prof. Taesun Kim
Department of Industrial Design
Content for General Readers
motivation
Massive production of digital photos driven by widespread mobile device use and the ease of capturing everyday moments. [1,2,4]
Growing need for large data storage solutions due to increased data production, leading to the rise of cloud storage services[3].
Emergence of 'dark data,' which refers to unused data stored in the cloud, contributing to increased energy consumption and carbon emissions[8, 9] from data centers.
Lack of attention and solutions focused on individual users' dark data management within cloud storage.
Challenges faced by users in managing and deleting digital photos due to excessive data accumulation, highlighting the need for emotionally satisfying user experiences[19,20] in the photo deletion process.
한글 요약:
모바일 기기의 보급과 일상에서 손쉽게 사진을 찍을 수 있게 되면서 디지털 사진의 생산량이 크게 증가[1,2,4]
데이터 생산량 증가로 인해 대용량 데이터 저장소의 필요성이 커졌고, 클라우드 스토리지 서비스[3]의 부상으로 이어짐.
클라우드에 저장되지만 다시는 접근하지 않는 다크 데이터[7]가 에너지 소비와 데이터 센터의 탄소 배출 증가[8, 9]에 기여.
클라우드 스토리지 내 개별 사용자의 다크 데이터 관리에 대한 관심과 솔루션 부족.
과도한 데이터 축적으로 인해 사용자가 디지털 사진을 관리하고 삭제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어, 감정적 만족감을 제공하는 사용자 경험 설계의 필요성[19,20] 대두.
contribution
Analyzed user behavior on cloud storage services to identify and address digital hoarding tendencies.
Conducted a user survey to distinguish between users with and without hoarding tendencies, followed by in-depth interviews to understand their photo deletion behaviors.
Proposed new cloud storage features that make it easier for users to delete unnecessary digital photos, aiming to reduce dark data and promote energy-saving behavior.
Evaluated the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design features to enhance the photo deletion experience and support sustainable practices in data management.
한글요약:
디지털 저장 강박 경향을 분석하고, 클라우드 스토리지 서비스에서의 사용자 행동을 이해함으로써 문제 해결을 모색.
사용자를 저장 강박 성향이 있는 그룹과 없는 그룹으로 구분하여 심층 인터뷰를 통해 사진 삭제 행동에 대한 인사이트 도출.
불필요한 디지털 사진을 쉽게 삭제할 수 있는 새로운 클라우드 스토리지 기능을 제안하여 다크 데이터 감소와 에너지 절약 행동을 촉진.
제안된 디자인 기능의 효과를 평가하여 사진 삭제 경험을 향상시키고, 데이터 관리의 지속 가능성을 지원하는 방안 제시.
Content for Korean Readers Who Want to Know More about the Paper
Related works
저장강박(digital hoarding) 장애: 쓸모없는 소유물의 습득과 버리지 못함[10].
동기: 우유부단함, 완벽주의, 자기 확장[11], 감정적 애착[12].
디지털 저장강박 동기[14]:
미래 보관, 증거 보관, 관리 어려움, 감정적 애착, '내 서버가 아니니까 내 문제 아님'.
물리적 공간에서는 억제가 되기도 했음[10]
사진 삭제의 어려움: 감정적 애착 때문[2].
디지털 저장강박의 심리적 영향: 스트레스와 불안 유발[14].
디자인 솔루션의 필요성: 저장강박 행동 관리 지원.
Summarize the contents
연구 배경
클라우드 저장소의 과도한 데이터 축적이 탄소 배출 증가의 원인이 됨.
디지털 호딩(데이터 과다 축적) 행동이 문제를 악화시킴.
특히 사진 데이터가 큰 비중을 차지함.
연구 방법
1단계: 사용자 조사
설문조사로 저장 성향이 높은 그룹과 낮은 그룹을 구분.
심층 인터뷰를 통해 사진 삭제 행동 패턴을 분석.
2단계: 인터페이스 설계 및 평가
Swipe-to-delete 기능.
Tilted photos 기능.
사용성 테스트를 통해 평가.
주요 발견점
저장 성향이 높은 사용자들의 클라우드 서비스에 대한 만족도가 낮음.
사진 삭제를 어렵게 만드는 주요 요인:
감정적 애착.
시간과 노력이 많이 소요됨.
저장 공간 부족 체감이 어려움.
해결책 제안
Swipe-to-delete:
직관적인 스와이프 동작으로 삭제 가능.
사진 관련 정보를 제공하여 의사결정을 지원.
Tilted photos:
정리되지 않은 사진을 시각적으로 구분.
정리 필요성 인식을 유도.
연구의 의의
개인의 디지털 호딩 행동 개선을 통한 환경 영향 감소 가능성 제시.
사용자 경험 중심의 지속 가능한 클라우드 사용 방안 제안.
제한점 및 향후 연구
적은 표본 크기.
장기적 효과 검증 필요.
실제 환경 영향 측정 필요.
In conclusion
Reference papers can be found below
https://dl.acm.org/doi/10.1145/3613905.3647968
If you have any questions, please contact me at the email address bel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