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I 24 REVIEW] SolderlessPCB: Reusing Electronic Components in PCB Prototyping through Detachable 3D Printed Housings

SolderlessPCB: Reusing Electronic Components in PCB Prototyping through Detachable 3D Printed Housings
Eun Ho Kim's avatar
Oct 06, 2024
[CHI 24 REVIEW] SolderlessPCB: Reusing Electronic Components in PCB Prototyping through Detachable 3D Printed Housings

This document is structured as follows:

  • Meta Information about the Paper (논문 정보)

  • Researcher's Affiliation Site (저자 연구실 정보)

  • Content for General Readers (일반 독자를 위한 내용)

  • Content for Korean Readers Who Want to Know More about the Paper (관련 분야 한국 전문가를 위한 내용)

  • In conclusion(마치며)

let’s start.


Meta Information about the Paper

Yan, Z., Li, J., Zhang, Z., & Peng, H. (2024, May). SolderlessPCB: Reusing Electronic Components in PCB Prototyping through Detachable 3D Printed Housings. In Proceedings of the CHI Conference on Human Factors in Computing Systems (pp. 1-17).

Research with Potential for Sustainable Impact

Winner in CHI 2024

Video:

https://dl.acm.org/doi/10.1145/3613904.3642765


Researcher's Affiliation Site

Prof. Huaishu Peng

  • Computer Science Department and a member of HCIL at the University of Maryland, College Park

  • multi-disciplinary research interests

    • (1) design and fabrication

    • (2) virtual and augmented reality

    • (3) assistive and enabling technology

https://huaishu.me/


Content for General Readers

motivation

In the PCB prototyping process, SMD components are frequently used, but they are often soldered in place, making them difficult to reuse. As a result, many components are discarded, leading to unnecessary electronic waste.

Therefore, a solution is needed to make SMD components easily reusable during the PCB prototyping process.

한글 요약:

  • PCB 프로토타입 제작 과정에서는 SMD 부품들이 자주 사용되는데, 납땜으로 고정되어 있어 재사용하기 어렵고 대신 폐기되는 경우가 많음. 이는 불필요한 전자 폐기물을 야기함.

  • 따라서 PCB 프로토타이핑 과정에서 SMD 부품을 쉽게 재사용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함.

contribution

  • Introduction of SolderlessPCB technology, utilizing 3D-printed housing to mount SMD components onto PCBs without soldering.

  • Allows easy attachment and removal of SMD components, enabling their reuse from previous design iterations or outdated prototypes.

  • Experimental evaluation of design parameters, electrical performance, and durability of SolderlessPCB.

  • Demonstration of SolderlessPCB’s applicability in high-current applications and high-speed data transmission.

한글요약:

  • SolderlessPCB라는 기술을 제안함. SMD 부품을 PCB에 납땜 없이 장착할 수 있게 해주는 3D 프린팅 하우징을 활용하는 방식임.

  • SMD 부품을 납땜 없이 PCB에 장착/분리할 수 있게 함으로써, 이전 디자인 iteration이나 오래된 프로토타입에서 SMD를 재사용할 수 있게 해줌.

  • SolderlessPCB의 설계 파라미터, 전기적 성능, 내구성 등을 실험을 통해 평가하고 검증함.

  • 고전류 애플리케이션이나 고속 데이터 전송에서도 SolderlessPCB가 활용 가능함을 사례로 보여줌.


Content for Readers Who Want to Know More about the Paper

: 아래 관련 연구들을 통해 이 연구의 결과인 남땜없는 조립의 가치를 드러냈습니다.

  1. [8] (Blevis, 2007): Sustainable Interaction Design(SID)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데 사용되었습니다. SID는 상호작용 기술 디자인에서 환경 영향과 인간 행동을 고려해야 함을 강조

  2. [9, 33, 58]: 다양한 디자인 패러다임이 지속가능성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한 후속 연구

  1. [13, 30, 47, 50]: 분해 가능하고 재활용 가능한 소재를 활용하여 디자인 과정에서 발생하는 폐기물의 환경 영향을 줄이는 방법

  1. [4, 5, 20, 28, 34]: 바이오 소재를 활용하는 방법을

  1. [45], [6, 36, 55]: 특수한 제작 공정이나 수작업을 필요로 하는 친환경 대체 소재에 관한 연구

  1. [17, 27, 32, 35, 39, 40, 51]: 폐기물을 수리하고 재활용하는 개념을 탐구한 연구

  1. [21] (Feher et al., 2022): 재활용 E-Reader에서 전자 잉크를 활용해 개인 맞춤형 디스플레이를 만드는 FabricatINK 연구

  1. [59]: 스마트 섬유 맥락에서 재료를 회수하고 재사용하는 디자인 사례인 Unfabricate

  1. [37, 60]: 프로토타이핑 과정에서의 디자인 반복도 지속가능성 관점에서 봐야한다고 주장한 연구

  1. [23, 41]: PCB 폐기물에서 희귀 금속 등 유용한 재료를 추출하는 화학적/기계적 기술을 다룬 연구

  1. [10, 64]: IC나 LED 같은 특정 유형의 반도체에서 유용한 물질을 추출하는 새로운 재활용 방법을 개발한 연구

  1. [15, 31, 56], [26], [7, 16, 19, 29]: 종이, 나무, 수용성 물질 등 PCB 기판으로 활용 가능한 새로운 지속가능한 재료를 보여주는 연구

  1. [24, 52, 54, 63]: 환경에 능동적/수동적으로 분해될 수 있는 새로운 복합 재료를 활용한 일시적 전자기기에 관한 연구

  1. [65]: 재사용 가능한 관통형 부품을 위해 다목적 맞춤형 브레드보드 디자인을 제안한 CurveBoards

  1. [49] (Shorter et al.): 바인더 클립 같은 전도성 일상 물건을 활용해 쉽게 분해 가능한 회로를 만드는 방법을 보여준 연구

  1. [39] (Yildirim et al., 2022): 재활용 가능한 전자 부품 활용을 제안하는 ecoEDA 연구

  2. [11] Digi-Key Electronics의 웹사이트로, 전자 부품 및 관련 제품에 대한 정보를 제공.이 문헌은 전자회로 조립 및 분해 과정에서 필요한 전자 부품과 관련 제품에 대한 정보를 얻는 데 사용되었을 것.

  3. [25] Kitronik의 웹사이트로, 전자 부품 및 관련 제품에 대한 정보를 제공. [11]과 마찬가지로 전자회로 조립 및 분해에 필요한 정보를 얻는 데 활용되었을 것.

  4. [43] Peeling and Shearing in Flexible Hybrid Electronics—Controlling Parameters for Damage-Free Disassembly: 플렉서블 하이브리드 전자 회로의 층간 분리 및 절단 과정에서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파라미터 제어 방법에 관한 논문. 이 논문의 내용은 전자 부품을 손상 없이 분리하는 방법을 고안하는 데 참고가 되었을 것.

  5. [48] A First Approach on An Automated Disassembly Sequence Generation for Smart Devices: 스마트 기기의 자동 분해 순서 생성을 위한 첫 번째 접근법에 관한 논문. 이 논문에서 제안된 자동화된 분해 방법은 전자 부품의 재사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아이디어를 제공했을 것.

  6. [62] A survey of the electronic waste as a source of recyclable: 재활용 가능한 자원으로서의 전자 폐기물에 대한 조사 논문. 이 논문은 폐기된 전자제품에서 재사용 가능한 부품을 얻는 방안에 대한 통찰을 제공했을 것.


 

Current PCB Prototyping Practice

조사 방법: PCB 디자인 경력 5년 이상인 로컬 메이커를 대상으로 semi-structured interviews

조사 결과:

  1. 폐PCB에서 원재료를 추출하여 재활용하는 방법

    • 화학적, 기계적 기술을 활용해 PCB 폐기물에서 희귀 금속과 백금족 원소 등 유용한 재료를 추출

    • IC, LED 등 특정 반도체에서 유용 물질을 추출하는 새로운 재활용 방법 개발 중

  1. 지속가능한 소재로 PCB를 제작하는 방법

    • 종이, 나무, 수용성 물질 등을 회로 기판 재료로 활용하여 사용 후 쉽게 재활용 가능

    • 능동적/수동적으로 환경에 분해될 수 있는 새로운 복합 소재를 활용한 일시적 전자기기 개발

  1. 전자 부품의 재사용을 장려하는 시스템적 접근법

    • CurveBoards: 다목적 맞춤형 브레드보드로 관통형 부품의 재사용 가능

    • 클립 등 전도성 일상용품을 활용해 쉽게 분해 가능한 회로 제작 방법 제안

    • ecoEDA: 재활용 가능한 재고 부품 활용을 권장하는 회로 설계 소프트웨어


In conclusion

Reference papers can be found below

https://dl.acm.org/doi/10.1145/3613904.3642765

If you have any questions, please contact me at the email address below.

ehlkim0215@gmail.com

Share article

eunhoki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