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I 24 REVIEW] Who is the Better Operator of an Identity Wallet Prioritised by the User? - A Quantitative Survey Between State and Company
![[CHI 24 REVIEW] Who is the Better Operator of an Identity Wallet Prioritised by the User? - A Quantitative Survey Between State and Company](https://image.inblog.dev?url=https%3A%2F%2Finblog.ai%2Fapi%2Fog%3Ftitle%3D%255BCHI%252024%2520REVIEW%255D%2520Who%2520is%2520the%2520Better%2520Operator%2520of%2520an%2520Identity%2520Wallet%2520Prioritised%2520by%2520the%2520User%253F%2520-%2520A%2520Quantitative%2520Survey%2520Between%2520State%2520and%2520Company%26logoUrl%3Dhttps%253A%252F%252Finblog.ai%252Finblog_logo.png%26blogTitle%3Deunhokim&w=2048&q=75)
This document is structured as follows:
Meta Information about the Paper (논문 정보)
Researcher's Affiliation Site (저자 연구실 정보)
Content for General Readers (일반 독자를 위한 내용)
Content for Korean Readers Who Want to Know More about the Paper (관련 분야 한국 전문가를 위한 한글 내용)
In conclusion (마치며)
let’s start.
Meta Information about the Paper
Kostic, S. (2024, May). Who is the Better Operator of an Identity Wallet Prioritised by the User?-A Quantitative Survey Between State and Company. In Extended Abstracts of the CHI Conference on Human Factors in Computing Systems (pp. 1-7).
CHI 24 Student Research Competition: Graduate
2nd Place
Video: Null
Researcher's Affiliation Site
M.S. Sandra Kostic
Content for General Readers
motivation
Previous studies indicated that the operator of an Identity Wallet is crucial for users' trust in the technology. However, it was unclear what preferences users have regarding operators when they cannot directly interact with a prototype.
There was a need to investigate how the use case of digitalizing sovereign documents like national ID cards influences operator preferences.
한글 요약:
이전 연구들은 Identity Wallet(신원 지갑)의 운영자가 사용자의 기술 신뢰에 있어 중요한 요소임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사용자가 프로토타입과 직접 상호작용할 수 없는 상황에서 운영자에 대한 사용자의 선호가 무엇인지 명확하지 않았다.
국가 신분증과 같은 주권 문서의 디지털화 사용 사례가 운영자 선호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조사할 필요가 있었다.
contribution
Conducted a quantitative survey with 306 participants to get insights into user preferences for Identity Wallet operators, focusing on aspects of user trust.
Provides insights on how supporting sovereign vs non-sovereign documents in an Identity Wallet influences users' operator preferences.
Offers quantitative data on prioritized operator preferences from users, showing a known private company is favored on average, but the state is most frequently ranked as the top preference.
Demonstrates that the concept of an Identity Wallet can be understood by users even with minimal information, allowing them to express informed operator preferences.
Contributes to understanding user mental models and trust factors related to Identity Wallet operators, which can inform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such systems.
한글요약:
306명의 참가자를 대상으로 정량적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Identity Wallet 운영자에 대한 사용자 선호도에 대한 통찰을 제공하였다. 이 연구는 사용자 신뢰 측면을 중점적으로 다뤘다.
주권 문서와 비주권 문서를 지원하는 Identity Wallet이 사용자의 운영자 선호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통찰을 제공한다.
사용자의 우선순위가 반영된 운영자 선호에 대한 정량적 데이터를 제공하며, 평균적으로는 잘 알려진 민간 기업이 선호되었으나 국가가 가장 빈번하게 최우선 순위로 평가되었다.
Identity Wallet 개념이 최소한의 정보만으로도 사용자에게 이해될 수 있음을 보여주며, 그들이 운영자 선호에 대해 충분히 정보에 입각한 의견을 표현할 수 있음을 입증한다.
Identity Wallet 운영자와 관련된 사용자 정신 모델과 신뢰 요인에 대한 이해를 도와 이러한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에 기여한다.
Content for Korean Readers Who Want to Know More about the Paper
Digital identities (디지털 신원)
온라인에서 사람들을 식별하는 방법 [11].
Facebook[10]이나 Google[4]과 같은 서비스가 발행한 디지털 신원을 사용하여 다른 온라인 서비스에서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음
Identity Wallet [6, 13,14]
디지털 신원에 대한 대안으로 제시됨
사용자가 다양한 디지털 신원을 하나의 앱에 저장하고 데이터를 제어할 수 있게 합니다.
e.g. 사용자는 나이 증명을 추가 정보를 제공하지 않고 공유할 수 있습니다[13]
related work
초기 프로토타입의 사용성 문제[5, 14]
2020년에 포커스 그룹을 기반으로 한 저품질 프로토타입이 개발 [5, 7, 14]
국가 신분증이나 운전면허증을 Identity Wallet에 저장하는 방법을 시연
단순히 애플리케이션을 시각적으로 설명하는 데 그치지 않고, 사용자 연구를 통해 개념의 사용성과 이해 가능성을 조사하는 데도 활용[7]
2020년부터 2022년까지 2년 동안 총 44명을 대상으로 세 번의 질적 사용자 연구가 진행[8]
저품질 → 고품질 → 저품질로 프로토타입을 진행했을 때, 정부를 운영자로 선호하는 결과로 나왔지만, 고품질일 때는 단 한 명만 기업을 지지했다.
참가자들이 프로토타입으로 디지털 신원을 생성할 수 있었으며, Identity Wallet을 사용하는 데 큰 관심을 보였다
<related work>
아직 초기 단계인 Identity Wallet의 응용 프로그램 [2, 5, 6, 14]
Identity Wallet의 혁신성과 그 사용으로 인한 이점이 사용자에게 충분히 설명되지 않음 [5, 14]
Identity Wallet의 사용성
SSI(자기 주권 신원) 기술[2]을 기반으로 한 여러 Identity Wallet을 사용한 18명의 참가자를 대상으로 사용성 연구를 수행[5]
연구 당시 해당 기술이 사용자에게 개인정보 보호나 보안 측면에서 Identity Wallet의 이점을 체감할 기회를 제공하지 못했다고 함
Identity Wallet의 용어 설명이 부실하여 사용성이 저하[5,14]
사용성 문제는 사용자가 과도한 데이터 공유에 대한 우려를 표출하게 만듬[6]
Identity Wallet에서의 신뢰 문제 [15]
사용자는 보안과 개인정보 보호보다 사용성을 더 중요하게 여김
신뢰를 강화하기 위해서는 Identity Wallet에 보안망도 사용되어야 함.
유럽 연합 내 신뢰에 대한 문화적 기대를 고려해야 함
<Identity Wallet 개념>
사용자가 자신의 디지털 신원을 독립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만이 식별을 목적으로 요청하는 서비스에 어떤 데이터를 제공할지 결정할 수 있게 한다[6]. 이하 핵심 [7] 기능 입니다.
물리적 신분증 카드(예: 국가 신분증)를 스마트폰 앱으로 전송하거나, 디지털 증명서를 지갑에 저장하여 디지털 신원을 보관합니다(예: 디지털 도서관 카드).
저장된 디지털 신원을 사용해 필요한 데이터만 전송하며, 데이터 전송 여부와 세부 내용은 사용자가 스스로 결정합니다. 이 과정은 사용자의 동의 하에만 이루어집니다.
결과 분석
대부분의 참가자가 국가를 운영자의 1위로 선택했으며, 잘 알려진 독일 민간 회사가 뒤를 이었음.
조사 결과, 참가자들은 운영자의 신뢰성과 인지도를 중요하게 여겼고, 국가 운영자는 사용자의 신뢰를 얻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함.
한계 및 향후 연구 방향
본 연구는 독일 내에서만 진행되었으나, 향후 유럽 차원의 연구로 확대할 수 있으며, 특정 기업에 대한 인지도가 사용자의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을 더 깊이 탐구할 필요가 있음. 또한, 실제 시연자를 통한 사용자 경험 연구도 제안.
In conclusion
Reference papers can be found below
https://dl.acm.org/doi/10.1145/3613905.3647961
If you have any questions, please contact me at the email address below.